☸️ ConfigMap & Secret Container에서 Application을 실행할 때 대표적인 장점 중 하나는 다양한 환경 간 차이를 원천적으로 없앨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 때 필요한 Environment Variable과 같은 Configuration Value는 외부에서 Container에 주입해야 합니다. 이처럼 Co...
☸️ [Kubernetes] ConfigMap & Secret ☸️
☸️ [Kubernetes] Volume ☸️
☸️ Volume Volume은 Container File System을 구성하는 수단 중 하나입니다. Volume을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서 Volume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의 생애주기가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Type 특징 • EmptyDir Pod와 생애주...
☸️ [Kubernetes] Service ☸️
☸️ Service Service는 Cluster 외부에서 Pod로 전달되는 것과 Pod에서 외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Routing을 맡는 Component입니다. 기본적으로 K8s는 Pod 간의 네트워킹으로 TCP와 UDP를 지원합니다. Service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Service는 자...
☸️ [Kubernetes] Controller ☸️
☸️ Controller Controller는 Auto Healing, Software Update, Auto Scaling, Job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K8s의 Controller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Deployment ...
☸️ [Kubernetes] Pod ☸️
☸️ About Pod Pod는 K8s가 하나 이상의 Container를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Pod는 Cluster를 이루는 Worker Node 중 하나의 Worker Node에서 실행되며 하나의 Pod에 속한 모든 Container는 같은 Worker Node에서 실행됩니다. ☸️ Container 🔗 Pod Container와...
☸️ [Kubernetes] Components ☸️
☸️ Kubernetes Core Components K8s는 한 대의 Master Node(Control Plane)와 여러 대의 Worker Node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Master Node의 Components와 Worker Node의 Components는 각각 Pod로 존재합니다. 출처: Kubernetes Doc ☸️ Master ...
☸️ [Kubernetes] About Kubernetes ☸️
☸️ Kubernetes Kubernetes란 이름은 Helmsman(키잡이)나 Pilot(조종사)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Kubernetes는 K8s로 표기하는데 K, ubernetes, s를 나타내는 줄임말입니다. ☸️ History of Kubernetes K8s 등장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Kubernetes ...
🌐 [Network] Load Balancing & Proxy 🌐
🌐 Load Balancing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은 Load Balancer에 의해 트래픽을 고르게 분배하는 기술입니다. Load Balancing은 L4 Switch, L7 Switch라 불리는 네트워크 장비(Load Balancer)로 수행할 수 있지만 Load Balancing 기능을 제공하는 S/W를 설치하면 일반 Ho...
🌐 [Network] Encryption 🌐
🌐 암호화(Encryption) & 복호화(Decryption) 암호화(Encryption)란 원문 데이터를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변경하는 것을 말하고 복호화(Decryption)란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문 데이터로 되돌리는 과정을 말합니다. 암호화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대칭 키...
🌐 [Network] TCP/IP Model - Wi-Fi 🌐
🌐 Wi-Fi 전파는 약 3kHz ~ 3THz 사이의 진동수를 가지는 전자기파입니다. 많은 기기들이 전파를 통해 통신한다면, 서로 다른 전파 신호가 같은 공간에 혼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통신하기 위해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에는 주파수 대역이 미리 정해져 있습니다. 무선 통신은 유선 통신과 마찬가지로 표준화되어 있고 표준화된 무선 통신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