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Generative Model] DDIM : Denoising Diffusion Implicit Models
Post
Cancel

[Generative Model] DDIM : Denoising Diffusion Implicit Models

해당 포스트에서는 DDIM : Denoising Diffusion Implicit Models 논문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논문을 전체적으로 읽고 싶으신 분은 Paper Reading으로 이동해주세요!

1. DDIM 등장 배경

최근에 iterative generative models(DDPM, NCSN)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Iterative generative models은 GANs과 비교했을 때 학습이 쉽지만 높은 품질의 sample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sample을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GANs보다 매우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것이 DDIM입니다.

DDIM은 DDPM에서 사용되는 Markov chain과정을 수정하여 sample 생성 속도를 높이고자 했습니다.

2. DDIM의 특징

DDIM 정리와 이어집니다.

  1. Forward process에서 더 이상 Markov chain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바로 보기)
  2. DDPM과 같은 objective function을 사용해서 학습을 진행합니다. (바로 보기)
  3. Sampling 속도가 DDPM보다 많이 빨라졌습니다. (바로 보기)
  4. Training image의 유일한 latent가 존재합니다. (바로 보기)
    • $\sigma_t$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sample은 고정된 latent에서 생성이 됩니다.
    • 하나의 latent로 고정되면서 timesteps과 상관없이 high-level image feature를 유지합니다.
    • Latent를 가지고 GANs처럼 semantically meaningful interpolation이 가능합니다.

3. DDIM 정리

3.1 Non-Markov process

DDIM에서는 sampling 속도를 높이기 위해 DDPM의 forward process를 Non-Markov process로 재정의하여 사용합니다.

\[q_\sigma(\mathbf{x}_{1:T}|\mathbf{x}_0) := q_\sigma(\mathbf{x}_T|\mathbf{x}_0)\prod^T_{t=2}q_\sigma(\mathbf{x}_{t-1}|\mathbf{x}_t, \mathbf{x}_0)\tag{1}\]

위의 수식처럼 forward process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사전 정의가 필요합니다. (구체적인 수식 증명은 Paper Reading을 참고해주세요.)

\[\begin{align} &q_\sigma(\mathbf{x}_t|\mathbf{x}_0) = \mathcal{N}(\sqrt{\alpha_t}\mathbf{x}_0, (1-\alpha_t)\mathrm{I})\tag{2}\\ &q_\sigma(\mathbf{x}_{t-1}|\mathbf{x}_t, \mathbf{x}_0) = \mathcal{N}\bigg(\sqrt{\alpha_{t-1}}\mathbf{x}_0 + \sqrt{1-\alpha_{t-1} - \sigma^2_t}\cdot \frac{\mathbf{x}_t - \sqrt{\alpha_t}\mathbf{x}_0}{\sqrt{1-\alpha_t}}, \sigma^2_t\mathrm{I}\bigg)\qquad (t > 1)\tag{3}\\ &q_\sigma(\mathbf{x}_{t}|\mathbf{x}_{t-1}, \mathbf{x}_0) = q_\sigma(\mathbf{x}_{t-1}|\mathbf{x}_{t}, \mathbf{x}_0) \times \frac{q_{\sigma}(\mathbf{x}_t|\mathbf{x}_0)}{q_\sigma(\mathbf{x}_{t-1}|\mathbf{x}_0)}\tag{4} \end{align}\]

3.2 Generative process 정의

  • 식 $2$를 변경해서 학습된 모델로부터 $\mathbf{x}_0$를 예측

    \[\begin{align} f_{\theta}^{(t)}(\mathbf{x}_{t}) &=\ \hat{\mathbf{x}}_0 \\ &=\ (\mathbf{x}_t - \sqrt{1-\alpha_{t}}\cdot \epsilon_{\theta}^{t}(\mathbf{x}_{t})) / \sqrt{\alpha_{t}} \tag{5} \end{align}\]
  • 식 $3$의 $\mathbf{x}_0$부분에 위에서 예측한 $\mathbf{x}_0$을 대입

    \[\begin{align} q_{\sigma}(\mathbf{x}_{t-1}|\mathbf{x}_{t}, \hat{\mathbf{x}}_{0}) &= q_{\sigma}(\mathbf{x}_{t-1}|\mathbf{x}_{t}, f_\theta^{(t)}(\mathbf{x}_t)) \\ &= \mathcal{N}\big(\sqrt{\alpha_{t-1}}f_{\theta}^{(t)}(\mathbf{x}_{t}) + \sqrt{1-\alpha_{t-1} - \sigma^2_t}\cdot \frac{\mathbf{x}_t - \sqrt{\alpha_t}f_{\theta}^{(t)}(\mathbf{x}_{t})}{\sqrt{1-\alpha_t}}, \sigma^2_t\mathrm{I}\big) \tag{6} \end{align}\]
  • 최종 generative process 정의

    • 식 $3$에서 $t$의 범위가 $1$보다 큰 경우이므로 $t=1$인 경우 따로 정의를 해주어야 합니다.
    • Generative process가 모든 $t$에서 작동하게 하기위해서 $t=1$일 때 gaussian noise를 추가해줍니다.
    • 그러면 아래와 같이 최종 generative process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p_{\theta}^{(t)}(\mathbf{x}_{t-1}|\mathbf{x}_{t})= \begin{cases} \mathcal{N}(f_\theta^{(1)}(\mathbf{x}_1),\ \sigma_1^2\mathrm{I}), & \text{if } t = 1 \\ q_{\sigma}(\mathbf{x}_{t-1}|\mathbf{x}_{t}, f_\theta^{(t)}(\mathbf{x}_t)), & \text{otherwise} \end{cases} \tag{7}\]

3.3 Objective function 정의

Forward process의 정의가 달라짐에 따라서 generative process도 바뀐 것 처럼 objective function 또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mathbb{E}\left[-\log\ p_\theta(\mathbf{x}_0)\right]$을 최소화 하고자 한 것은 DDPM과 다르지 않습니다.

최종 objective function 식을 DDPM과 비교해보겠습니다.

\[\begin{align} &L = \sum^T_{t=1}\frac{\beta_t^2}{2\sigma_t^2\cdot\alpha_t\cdot(1-\bar{\alpha}_t)}\mathbb{E}\bigg[\big\lVert \epsilon_t\ -\ \epsilon^{(t)}_\theta(\mathbf{x}_t)\big\rVert^2_2 \bigg]& \cdots\quad \text{DDPM} \tag{8}\\ &J_\sigma = \sum^T_{t=1}\frac{1-\alpha_t}{2\sigma^2_t\alpha_t}\mathbb{E}\bigg[\big\lVert \epsilon_t\ -\ \epsilon^{(t)}_\theta(\mathbf{x}_t)\big\rVert^2_2 \bigg]& \cdots\quad \text{DDIM}\tag{9} \end{align}\]

DDPM과 DDIM에서 사용하는 notation이 다르기는 하지만 그 차이는 상수배의 차이만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DDIM의 objective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J_\sigma(\epsilon_\theta) = L(\epsilon_\theta) + C\tag{10}\]

처음 시작점은 같고 중간과정은 달랐을지 몰라도 DDPM의 objective function를 DDIM에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3.4 $\sigma$가 무엇인가?

Objective function과 sampling을 위한 식 $6$에 $\sigma$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objective function에서는 DDPM과 같은 objective function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시하고 식 $6$만 살펴보겠습니다.

식 $6$을 $\mathbf{x}_{t-1}$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begin{align} q_{\sigma}(\mathbf{x}_{t-1}|\mathbf{x}_{t}, \hat{\mathbf{x}}_{0}) &= q_{\sigma}(\mathbf{x}_{t-1}|\mathbf{x}_{t}, f_\theta^{(t)}(\mathbf{x}_t)) & \qquad \\ &= \mathcal{N}\big(\sqrt{\alpha_{t-1}}f_{\theta}^{(t)}(\mathbf{x}_{t}) + \sqrt{1-\alpha_{t-1} - \sigma^2_t}\cdot \frac{\mathbf{x}_t - \sqrt{\alpha_t}f_{\theta}^{(t)}(\mathbf{x}_{t})}{\sqrt{1-\alpha_t}}, \sigma^2_t\mathrm{I}\big) & \qquad \\ &= \sqrt{\alpha_{t-1}}f_{\theta}^{(t)}(\mathbf{x}_{t}) + \sqrt{1-\alpha_{t-1} - \sigma^2_t}\cdot \frac{\mathbf{x}_t - \sqrt{\alpha_t}f_{\theta}^{(t)}(\mathbf{x}_{t})}{\sqrt{1-\alpha_t}} + \sigma_t \epsilon_t & \qquad \\ &= \sqrt{\alpha_{t-1}}\Bigg(\frac{\mathbf{x}_t - \sqrt{1-\alpha_{t}}\cdot \epsilon_{\theta}^{t}(\mathbf{x}_{t})}{\sqrt{\alpha_{t}}} \Bigg) + \sqrt{1-\alpha_{t-1} - \sigma^2_t}\cdot \frac{\mathbf{x}_t - \sqrt{\alpha_t}\big(\frac{\mathbf{x}_t - \sqrt{1-\alpha_{t}}\cdot \epsilon_{\theta}^{t}(\mathbf{x}_{t})}{\sqrt{\alpha_{t}}} \big)}{\sqrt{1-\alpha_t}} + \sigma_t \epsilon_t & \qquad \\ &= \sqrt{\alpha_{t-1}}\underset{\text{"predicted }\mathbf{x}_{0}\text{"}}{\underbrace{\bigg(\frac{\mathbf{x}_{t} - \sqrt{1-\alpha_{t}}\epsilon^{(t)}_{\theta}(\mathbf{x}_{t})}{\sqrt{\alpha_{t}}}\bigg)}}\ +\ \underset{\text{"direction pointing to }\mathbf{x}_{t}\text{"}}{\underbrace{\sqrt{1 - \alpha_{t-1} - \sigma^{2}_{t}}\ \cdot\ \epsilon^{(t)}_{\theta}(\mathbf{x}_{t})}}\ +\ \underset{\text{random noise}}{\underbrace{\sigma_{t}\epsilon_{t}}} & \qquad \tag{11}\\ \end{align}\]

만약 $\sigma$가 $0$이면 random noise에 해당하는 부분이 $0$이 되므로 random하지 않게 sampling이 가능하게 됩니다. 즉, $\sigma$는 stochastic한 정도를 조절하는 paramet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sigma$가 $0$일 때 DDIM이라고 부르며 random 하지 않으므로 sample은 고정된 latent로부터 생성되게 됩니다.

그러나 random noise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sigma$가 DDPM에서의 $\tilde{\beta}$와 같다면 DDPM이 됩니다. DDPM에서의 $\tilde{\beta}$를 DDIM notation으로 바꾸면 $\sigma_{t} = \sqrt{(1-\alpha_{t-1})/(1-\alpha_{t})}\sqrt{1-\alpha_{t}/\alpha_{t-1}}$이고 이 때 DDPM의 sampling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3.5 Sampling 속도 향상

Forward process가 더 이상 Markov process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q_\sigma(\mathbf{x}_t|\mathbf{x}_0)$만 고정되어 있다면 $1 \sim T$ 모두 sampling 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q_\sigma(\mathbf{x}_t|\mathbf{x}_0)$만 고정되어 있다면 식 $11$을 $t-1$이 아닌 다른 $t-2$ 또는 $t-3$ 등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forward process의 역이 generative process이기 때문에 학습을 timestep $[1,\dots,T]$이 아닌 subset $[\tau_1,\dots,\tau_S]$에 대해 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앞서서 말한 objective function이 변하지 않습니다.

4. 나의 생각

💭 Sampling 속도를 향상 시킨 것도 큰 역할을 했지만 diffusion model을 deterministic하게 만듬으로써 latent가 고정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GANs처럼 latent를 활용해 의미있는 style transfer가 가능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 또한 Gaussian이 아닌 다른 분포에 대해서도 가능하다는 것도 하나의 장점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데이터의 수가 많을 때 Gaussian distribution이므로 큰 장점이라고는 할 수 없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나 논문에서는 이점을 강조하고 있어서 앞으로 Gaussian이 아닌 경우를 다루는 논문이 있는지 주의깊게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Generative Model] DDIM : Denoising Diffusion Implicit Models

-